사 적 지

HOME > 사 적 지

아래를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치마대(馳馬臺)

상서대(尙書臺)

분수재(分數災)

봉강재(鳳岡齋)

용연(龍消)

 

pu003.jpg

봉강재(鳳岡齋)

봉강재는 경상북도 영일군 기계면 봉계리 운주산 구봉(九峯) 아래에 있는데 시조 태사공의 묘소와 신주를 모신 별묘(別廟)가 있는 영역(塋域)이다.

 

이 묘소는 일시 실전되어 이 지방의 토호 이 아무개가 석물을 없애고 투장한 것을 후손들의 지극 정성으로 다시 찾아 수호하게 되었다.

고전문헌과 그 지방 노인들의 구전으로 묘소의 위치를 알게 되어 당시 경주 부윤으로 있던 24세 이(理) 공이 심묘 하는데 힘을 기울였으나 단서를 잡지 못하였다가 영조 13년(1737)에 25세손 봉정(鳳廷) 공이 경주 영장(營將)으로 부임하여 묘소 부근에서 ‘大夫君’이라고 크게 새긴 부서진 빗돌 하나를 발견하여 모든 종인이 크게 기뻐하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입증하기에는 미흡 하였다. 그 후 2년이 지난 1739년에 이(理) 공의 아들 양래(陽來) 공이 경상 감사로 부임한 후 7일 간이나 비석 조각이 발견된 그 주위를 파헤 쳐 ‘先之金剛’이라 새긴 부서진 빗돌을 발견하여 태사공의 묘소가 틀림없음을 확인하고 이가가 투장한 분묘 6기를 전부 파서 이장시켰다.

 

그 다음 해인 1740년에 판서 혜교(惠敎)공, 감사 양래(陽來)공, 부사 동설(東卨)공, 승지 휘정(彙貞)공, 현령 사도(師道)공, 참판 용(容)공 등의 발의로 묘역을 수축하고 묘비 등 석물을 갖추고 제전(祭田) 일석(一石)지기를 마련하여 매년 10월 10일에 제사를 모시기로 하였다. 그 후 10여년이 지난 1751년에 27세 광소(光紹)공이 안동 부사로 부임하여 재사(齋舍)와 봉서암(鳳接庭)을 짓고 승려로 하여금 묘를 지키며 명복을 빌게 하였다.

 

그때 광소공은 돈 50냥, 재목 15칸과 제사 때 쓸 제기의 물(祭器儀物)을 기증하였다. 경상감사로 부임 한 26세 동도(東度)공이 돈 80냥,위토 한섬지기 (240냥). 벼 180섬 등을 헌납하였으며 그 외 후손들의 성금이 많이 있었다. 그  뒤부터는 경상도 지방에 수령으로 부임하는 후손들은 반드시 위토를 헌납하도록 하였으므로 위토가 많이 불어났다.

 

순조 33년(1833) 재사 뒤에 봉강서원 을 창건하여 태사공의 위패를 모시고 봄 가을로 제사를 드리다가 대지가 협소하여 헌종 12년(1846)에 서원을 치동(治洞)으로 옮겨지었는데 철종 8년(1857)에 서원을 증축하여 노론의 거두인 문충공 민진원(閔鎭遠과 역시 노론인 충헌공 김창집 (金昌集) 두 분을 배향케 하셨다. 그러나 고종 2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서원은 철폐되고 그 자리에 유서비를 세웠다. 1953년 동지제향시(冬至祭李時) 당시 봉강재 도유사 원병(源炳) 발의로 위토 환원 이전등기와 재사 증축 및 개축사업을 위한 파평 윤씨 보원회(坡平尹氏保源會)가 조직 발족 하여 위토를 환원하여 이전 등기 하였으며 봉강재 증 •개축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후손들의 성금으로 충당하여 묘역 현창 사업을 완료하였다.

 

태사공 묘하에는 근래까지 신도비 가 건립되어 있지 않았는데 1971년 31세 구보(龜普)의 성금으로 비로소 신도비를 건립하였다.

1982년 태사공의 사당이 신축되었는데 이 사업은 봉강재 두상(斗相) 회장의 노력하에 많은 종인들의 성금과 특히 재일교포 후손들의 성금 4천 5백만원으로 이루어졌다.

 

아래를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치마대

(馳馬臺)

상서대

(尙書臺)

분수재

(分數災)

봉강재

(鳳岡齋)

용연

(龍消)

 

pu003.jpg

봉강재(鳳岡齋)

 

봉강재는 경상북도 영일군 기계면 봉계리 운주산 구봉(九峯) 아래에 있는데 시조 태사공의 묘소와 신주를 모신 별묘(別廟)가 있는 영역(塋域)이다.

 

이 묘소는 일시 실전되어 이 지방의 토호 이 아무개가 석물을 없애고 투장한 것을 후손들의 지극 정성으로 다시 찾아 수호하게 되었다.

고전문헌과 그 지방 노인들의 구전으로 묘소의 위치를 알게 되어 당시 경주 부윤으로 있던 24세 이(理) 공이 심묘 하는데 힘을 기울였으나 단서를 잡지 못하였다가 영조 13년(1737)에 25세손 봉정(鳳廷) 공이 경주 영장(營將)으로 부임하여 묘소 부근에서 ‘大夫君’이라고 크게 새긴 부서진 빗돌 하나를 발견하여 모든 종인이 크게 기뻐하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입증하기에는 미흡 하였다. 그 후 2년이 지난 1739년에 이(理) 공의 아들 양래(陽來) 공이 경상 감사로 부임한 후 7일 간이나 비석 조각이 발견된 그 주위를 파헤 쳐 ‘先之金剛’이라 새긴 부서진 빗돌을 발견하여 태사공의 묘소가 틀림없음을 확인하고 이가가 투장한 분묘 6기를 전부 파서 이장시켰다.

 

그 다음 해인 1740년에 판서 혜교(惠敎)공, 감사 양래(陽來)공, 부사 동설(東卨)공, 승지 휘정(彙貞)공, 현령 사도(師道)공, 참판 용(容)공 등의 발의로 묘역을 수축하고 묘비 등 석물을 갖추고 제전(祭田) 일석(一石)지기를 마련하여 매년 10월 10일에 제사를 모시기로 하였다. 그 후 10여년이 지난 1751년에 27세 광소(光紹)공이 안동 부사로 부임하여 재사(齋舍)와 봉서암(鳳接庭)을 짓고 승려로 하여금 묘를 지키며 명복을 빌게 하였다.

 

그때 광소공은 돈 50냥, 재목 15칸과 제사 때 쓸 제기의 물(祭器儀物)을 기증하였다. 경상감사로 부임 한 26세 동도(東度)공이 돈 80냥,위토 한섬지기 (240냥). 벼 180섬 등을 헌납하였으며 그 외 후손들의 성금이 많이 있었다. 그  뒤부터는 경상도 지방에 수령으로 부임하는 후손들은 반드시 위토를 헌납하도록 하였으므로 위토가 많이 불어났다.

 

순조 33년(1833) 재사 뒤에 봉강서원 을 창건하여 태사공의 위패를 모시고 봄 가을로 제사를 드리다가 대지가 협소하여 헌종 12년(1846)에 서원을 치동(治洞)으로 옮겨지었는데 철종 8년(1857)에 서원을 증축하여 노론의 거두인 문충공 민진원(閔鎭遠과 역시 노론인 충헌공 김창집 (金昌集) 두 분을 배향케 하셨다. 그러나 고종 2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서원은 철폐되고 그 자리에 유서비를 세웠다. 1953년 동지제향시(冬至祭李時) 당시 봉강재 도유사 원병(源炳) 발의로 위토 환원 이전등기와 재사 증축 및 개축사업을 위한 파평 윤씨 보원회(坡平尹氏保源會)가 조직 발족 하여 위토를 환원하여 이전 등기 하였으며 봉강재 증 •개축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후손들의 성금으로 충당하여 묘역 현창 사업을 완료하였다.

 

태사공 묘하에는 근래까지 신도비 가 건립되어 있지 않았는데 1971년 31세 구보(龜普)의 성금으로 비로소 신도비를 건립하였다.

1982년 태사공의 사당이 신축되었는데 이 사업은 봉강재 두상(斗相) 회장의 노력하에 많은 종인들의 성금과 특히 재일교포 후손들의 성금 4천 5백만원으로 이루어졌다.